실업급여 계산기 1분컷! 내가 얼마나 받을지 숫자로 알려드릴게요

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한데, 계산은 복잡하다고 느끼셨죠?
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이 글입니다. 어렵게 풀지 않고, 딱 필요한 정보만 쉽게 알려드릴게요.

실업급여, 어떻게 계산될까요?

실업급여는 ‘평균임금’의 60% × 지급일수로 계산돼요.
여기서 말하는 평균임금은 퇴사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세전 급여 총액을 일수로 나눈 값이에요.

계산 순서 한눈에 보기

  1. 평균임금 구하기
    • 퇴사 전 3개월 급여 총합 ÷ 3개월 일수
  2. 1일 실업급여 계산
    • 평균임금 × 60%
    • 상한선(77,000원), 하한선(73,600원) 사이에서 조정돼요
  3. 지급일수 결정
    •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120일~270일
  4. 총 지급액 계산
    • 1일 금액 × 지급일수

📌 예를 들어 총급여가 600만 원이고, 90일 일했으면?
→ 평균임금 = 600만 원 ÷ 90일 = 66,666원
→ 66,666원 × 60% = 40,000원 → 하루에 40,000원 받게 돼요

👉 생각보다 많이 받을 수 있어요.

실업급여 계산기, 이렇게 써요

실업급여 계산기는 누구나 쉽게 쓸 수 있어요.
직접 숫자만 넣으면 자동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복잡할 게 하나도 없어요.어떻게 쓰나요?

  1. 급여 입력
    • 퇴사 전 3개월 동안 받은 세전 급여 총액을 입력해요.
    • 기본급뿐만 아니라 야근수당, 상여금도 포함됩니다.
  2. 고용보험 가입기간 입력
    • 내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던 전체 기간을 선택해요.
    • 이게 길수록 지급일수도 늘어나요.
  3. 나이 입력
    • 만 나이를 입력하면, 연령 기준에 맞는 지급일수를 자동으로 반영해줘요.
  4. 결과 확인
    • 1일 받을 금액, 총 받을 수 있는 기간, 총 수령 금액이 바로 나와요.

👉 보통 1분이면 끝나요.
스마트폰이나 PC에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어요.

💬 팁: 계산기 돌려본 다음, 실제 고용센터 신청 전에 한 번 더 확인하면 정확해요.

직접 해보면 생각보다 간단해요.

고용보험 가입기간 확인 방법 (이것도 1분컷)

실업급여 계산 시 가장 헷갈리는 게 ‘고용보험 가입기간’이에요.
다행히 요즘은 온라인으로 1분 만에 확인할 수 있어요!

확인 방법

  1. 고용보험 사이트 접속 → https://www.ei.go.kr
  2. 상단 메뉴에서 개인서비스 >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 클릭
  3.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
  4. 전체 가입이력 확인 가능

👉 여기서 나오는 총 가입 개월 수가 실업급여 지급일수 산정 기준이 돼요.

또는 국민연금 가입내역서,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에서도 유사한 경력을 참고할 수 있어요.
하지만 실업급여는 반드시 고용보험 가입 이력을 기준으로 합니다!

연령대별 실업급여 지급 기준 비교표

실업급여,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표로 쉽게 확인해보세요.
나이랑 일한 기간만 알면 얼추 계산됩니다.

연령대별 실업급여 표로 정리

연령대고용보험 가입기간지급일수 범위월 수령액 (예상)
20대1년 이상 ~ 3년 미만120일약 1,760,000원 ~ 1,850,000원
30대3년 이상 ~ 5년 미만150일약 1,840,000원 ~ 1,925,000원
40대5년 이상 ~ 10년 미만180일약 1,900,000원 ~ 2,000,000원
50대10년 이상 ~ 20년 미만210일약 1,930,000원 ~ 2,070,000원
60세 이상20년 이상270일약 2,200,000원 ~ 2,310,000원

Tip! 실업급여는 매일 들어오는 게 아니고, 보통 4주에 한 번씩 정산돼요.
표에 나온 금액은 참고용이에요.

어디서 계산하면 되나요?

아래 사이트 들어가서 3가지만 입력하면 바로 계산돼요.

👉 계산기 켜고, 월급/기간/나이만 넣으면 끝이에요.

실업급여 계산할 때 이것만 주의!

계산이 쉬워도, 실수하면 수급이 중단되거나 감액될 수 있어요.
아래 항목들만 꼭 기억해두면, 실수 없이 받을 수 있어요.

꼭 체크하세요

자발적 퇴사는 실업급여 불가

  • 내가 스스로 퇴사한 경우, 대부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어요.
  • 단,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면 예외도 있어요 (임금 체불, 괴롭힘 등)

급여 내역 중 일부는 평균임금에서 빠질 수 있어요

  • 기본급, 연장수당, 야근수당은 포함되지만
  • 식대나 교통비 같은 비과세 항목은 제외될 수 있어요.

무급휴직, 육아휴직 기간은 계산에서 제외돼요

  • 이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 들어가지 않아요.

단기 아르바이트는 감액 대상

  • 실업급여 수급 중 일하면 그 날은 감액 처리돼요.
  • 신고 안 하면 ‘부정수급’으로 전액 환수될 수 있어요.

구직활동 안 하면 지급 중단될 수 있어요

  • 실업인정일에 구직활동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해요.
  • 워크넷 입사지원, 교육 수료 등도 인정돼요.

요약하면:

무조건 정직하게, 빠짐없이 신고하는 게 가장 안전한 길입니다!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실업급여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?

A: 보통 퇴사 후 7일의 대기 기간 + 12주의 심사기간을 거쳐, 약 23주 뒤부터 지급이 시작돼요.

Q2. 실업급여 지급일은 정해져 있나요?

A: 실업인정일 기준으로 보통 4주마다 한 번씩 입금돼요. 매주 들어오는 게 아니라서 참고하세요.

Q3. 실업급여는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
A: 2025년 기준으로 1일 최대 77,000원하한선은 73,600원이에요. 평균임금이 높아도 이 이상은 받을 수 없어요.

Q4. 고용보험 가입기간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
A: 고용보험 사이트에서 ‘가입이력 조회’ 메뉴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. 공동인증서 필요합니다.

Q5. 퇴직금은 실업급여에 영향을 주나요?

A: 아니요, 퇴직금은 별개예요. 실업급여 계산에는 퇴직금은 포함되지 않아요.

Q6. 실업급여 수령 중 아르바이트 하면 어떻게 되나요?

A: 반드시 신고해야 해요. 신고하지 않으면 부정수급으로 전액 환수될 수 있어요.
신고 시 일부 감액되긴 하지만 수령은 가능합니다.

Q7. 실업급여는 세금이 붙나요?

A: 실업급여는 비과세 소득이라 따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아요.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
Q8. 육아휴직 중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?

A: 육아휴직 중에는 실업 상태로 인정되지 않아 받을 수 없어요. 복직 후 퇴사해야 실업급여 대상이 됩니다.

Q9. 실업급여는 몇 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
A: 퇴사할 때마다 조건을 충족하면 매번 받을 수 있어요. 단, 수급 후 1년 이상 재취업 상태여야 다시 받을 수 있어요.

Q10. 실업급여 신청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
A: 퇴사 후 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해요. 늦으면 권리 자체가 사라져요, 꼭 기한 내에 신청하세요!

마무리 정리

  • 평균임금 × 60% × 지급일수 = 실업급여 총액
  • 나이랑 일한 기간이 많을수록 더 오래 받을 수 있어요

계산기 한 번 써보면,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확실히 보여요.
받을 수 있는 돈, 놓치지 마세요.

한 줄 요약

“실업급여 계산기, 써보면 돈이 보입니다!”


함께 읽으면 좋은 글

리얼핏다이어트에서 [실업급여 구직활동]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.
👉 [관련글 링크: https://realfitdiet.com]

댓글 남기기